Surprise Me!

[앵커의 시선] 원주민 내쫓는 '젠트리피케이션'의 어두운 단면

2020-01-18 4 Dailymotion

[앵커의 시선] 원주민 내쫓는 '젠트리피케이션'의 어두운 단면<br /><br />앵커의 눈으로 지역의 이슈를 짚어보는 앵커의 시선 입니다.<br /><br />1964년 영국의 사회학자 루스 글래스가 처음 사용한 용어죠.<br /><br />젠트리피케이션은 영국 산업혁명 이전의 지주계급을 의미하는 '젠트리'와, 변화를 의미하는 어미 '-피케이션'의 합성어입니다.<br /><br />이는 중산층 이상의 계층이 특정 지역으로 유입되면서 일어나는 변화를 뜻하는데요.<br /><br />일명 '둥지 내몰림 현상'이라고도 불리는 이 젠트리피케이션은 최근들어 한국에서도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낙후된 구도심 지역이 활성화되고, 상대적으로 낮았던 임대료가 높아지면서, 그 과정에서 되레 기존 주민이나 상인들이 다른 지역으로 내몰리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그렇다면 이런 현상은 어떤 상황과 맞물려있을까요?<br /><br />젠트리피케이션은 구도심에 외부 자본이 유입되거나, 국가나 지자체의 도시 재생 사업이 진행되는 것과 맞닿아 있습니다.<br /><br />많이들 들어보셨을 서울의 이태원과 경리단길, 익선동, 성수동 등은 모두 특유의 분위기로 핫플레이스로 부상했던 곳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치솟는 임대료에 '기존 상인'들은 떠나가고, '대형 프랜차이즈'들이 들어서며 지역 상권이 무너지고 있다는 지적이 많습니다.<br /><br />도시재생사업의 대표적인 예인 서울 서촌과 대구 김광석 거리 역시 마찬가지로 젠트리피케이션이 진행 중 입니다.<br /><br />어떤 상황인지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볼까요?<br /><br />젠트리피케이션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는 이태원의 중대형 상가의 공실률은 2016년 3분기 기준으로 12.6%였는데요.<br /><br />3년 만에 26.5%로 2배 이상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같은 기간, 임대료는 약 8% 증가했는데요.<br /><br />기존 상인들이, 임대료 상승을 견디지 못하고, 해당 지역을 떠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전국적으로 따져봐도, 중대형 상가의 공실률은 지난해 3분기 기준 11.5%로 2년만에 2% 포인트 가까이 늘었는데요.<br /><br />젠트리피케이션이 전국 공실률 수치에까지 영향을 미칠만큼 심각하다고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.<br /><br />이런 상황에서, 지자체들도 가만히 있을 수 없겠죠.<br /><br />젠트리피케이션의 피해를 막겠다며, 자체적인 노력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2015년 9월, 서울시 성동구가 전국 최초로 관련 조례를 제정했고, 이후 2019년 10월 기준 약 44개의 지자체가 조례 제정에 동참해서 시행 중인데요.<br /><br />조례의 대다수는 젠트리피케이션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'상생협약 체결 그리고 상생협력 상가 조성' 등을 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여기에도 문제는 있습니다.<br /><br />지자체의 상생협약은 강제성이나 법적 구속력이 없기 때문에, 지자체의 대응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건데요.<br /><br />같은 고민을 미리 겪은, 영국과 프랑스는 퇴거 보상 제도 등을 통해 소상공인을 보호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우리나라도 이제 젠트리피케이션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, 국가 차원의 제도적 정책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.<br /><br />이와 함께 구도심의 개발 단계부터, 지역적 특성을 살린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겠죠.<br /><br />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.<br /><br />이제 더는 지역만의 문제로 두고 볼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진정한 상생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함께 머리를 맞대고,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할 때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앵커의 시선 이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